
2013년 10월 소안도에 갔었다. 1년 365일 집마다 태극기가 걸려 있는 모습이 신기했다. 소안도는 부산 동래, 함경도 북청과 함께 항일운동 3대 성지로 손꼽히는 섬이라는 것을 그때 알게 되었다.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소안군도 해역을 항해하는 일본 군함과 상선들의 안전 운항을 위해 1909년 1월 당사도에 등대를 세웠다. 소안도 출신 동학군 이준하 선생과 해남 이진마을의 의병은 조선에서 수탈한 물자를 실어 나르던 일본 상선의 뱃길을 막고자 거친 해안 절벽을 기어올라 일본인 등대원 4명을 처단하고, 등대를 파괴했다. 당사도 등대가 생긴 지 불과 2개월 만의 일이었다. 이 당사도 등대 습격 사건이 1920년대 소안도 항일운동의 시작점이 되었다. 이번에는 삼일절 3일간의 연휴를 맞아 그동안 미루고 미루었던 당사도 여행을 결행했다. 올해는 삼일절 100주년이다. 의미 있는 날을 기념하여 태극기와 독립선언문도 준비했다.

여행 둘째 날 아침 7시 30분 노화도 이목항에서 섬사랑1호를 탔다. 노화도 이목항을 출발한 여객선은 소안도를 거쳐 당사도에 도착한다. 당사도에는 선착장이 두 곳이다. 한 곳은 마을이 있는 당사 선착장이고, 다른 한 곳은 행정 보급선이 드나드는 등대 선착장이다. 일행 중 한 분이 선장님에게 당사도를 찾는 이유를 설명했다. 그랬더니 당사도 등대와 가까운 등대 선착장에 내려주신다. 등대는 당사도 남쪽 끝자락에 자리 잡고 있다. 마을에서 등대까지 왕복 3km 정도의 거리를 반으로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그만큼 시간도 벌고 여유도 생겼다. 등대 선착장에서 등대로 오르는 길은 가팔랐다. 길을 오르자 동백나무와 후박나무로 울창한 숲이 나온다.


당사도에는 민박집이 하나 있다. 숙박은 가능하지만, 식사가 안된다. 방법이 없을까 하고 소안면사무소에 전화했다. 관광지가 아닌 섬을 여행할 때 종종 이용하는 방법이다. 당사도 이장님 전화번호를 알아내어 전화했다. 우리 일행이 당사도를 찾는 이유와 식사에 대한 요청을 드렸다. 그랬더니 마을부녀회에서 도움을 주시겠다고 했다.




◇ 코스 : 당사도는 마을과 당사도 등대 두 곳을 돌아보면 된다. 마을과 등대를 잇는 등산로 왕복 약 3km.
◇ 교통 : 당사도를 들어가기 위해서는 두 번 배를 타야 한다. 해남 땅끝선착장에서 노화도로 오는 방법과 완도읍 화흥포항에서 소안도로 오는 방법이다. 땅끝선착장과 화흥포항에서는 여객선이 수시로 있다.
노화도 이목항에서 출발한 여객선은 소안도 소안항을 거침으로 노화도 이목항이나 소안도 소안항에서 당사도행 여객선으로 갈아타면 된다. 당사도행 섬사랑1호 배 시간은 노화도 이목항에서 7:30, 15:30 출발, 당사도에서 8:20, 16:20 회항. 하루 2회 운항. 왕복요금 7,200원
◇ 숙식 : 동트는 민박집은 숙박만 가능하고 식사는 안된다. 당사도 여행에 대한 도움은 마을이장님께 요청하면 된다.